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에서 가장 보수적인 이슬람 국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결혼 문화 역시 종교적, 전통적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외부인의 시선을 끄는 요소가 바로 결혼 지참금(Mahr, 마흐르)입니다.
신랑이 신부 측에 주는 금전적 보증 성격의 이 풍습은 단순한 금전 이전이 아니라 결혼 계약에서의 존중과 책임을 나타내는 의미를 지닙니다.
이 글에서는 사우디 지참금 제도의 구조와 배경, 평균 금액, 사회적 변화까지 균형 있게 정리해드립니다.
📂 목차
- 지참금(Mahr)이란 무엇인가?
- 사우디아라비아의 결혼 지참금 평균은?
- 지참금은 반드시 돈으로 줘야 할까?
- 지참금 문화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과 변화
- 지참금은 단순한 돈이 아니다
1. 지참금(Mahr)이란 무엇인가?
지참금은 이슬람 율법(샤리아)에 따라 신랑이 신부에게 주는 금전 또는 자산으로, 결혼 계약의 필수 요소 중 하나입니다.
마흐르(Mahr)는 신부의 고유 권리로 간주되며, 이혼이나 사별 등의 상황에서도 법적으로 보호받는 독립적인 자산입니다.
결혼 시 서명하는 Nikah(니카)라는 계약서에 이 금액이나 형태가 명시되며, 양가의 합의 하에 규모는 조정 가능합니다.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이 지참금을 단순히 돈이 아닌 신랑의 책임과 진심을 상징하는 약속으로 여깁니다.
2. 사우디아라비아의 결혼 지참금 평균은?
사우디아라비아는 지역과 가정에 따라 지참금 규모가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50,000~100,000 사우디 리얄(SAR) 사이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한화로 약 1,800만 원에서 3,600만 원 수준에 해당합니다.
도시 중산층과 부유층의 경우에는 그 이상의 금액이 오가며, 일부 특수 계층에서는 억 단위의 지참금도 존재합니다.
✅ 지참금 평균 현황
구분 | 평균 지참금 | 한화 환산 (2025년 기준 약 1SAR = 360원) |
---|---|---|
일반 가정 | 50,000 SAR | 약 1,800만 원 |
도시 중산층 | 70,000~100,000 SAR | 약 2,500만~3,600만 원 |
부유층/왕족 | 수백만 SAR 이상 | 억 단위 이상도 존재 |
3. 지참금은 반드시 돈으로 줘야 할까?
사우디에서는 지참금이 반드시 현금일 필요는 없습니다. 금이나 보석, 차량,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슬람 서적이나 교육 기회 등 상징적 형태의 지참금도 허용됩니다.
대표적인 지참금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금반지 세트 또는 귀금속
- 승용차 또는 주택 명의 이전
- 부동산 일부 권리 이전
- 상징적인 소액 현금과 함께 신랑의 종교적 서약
다만 실질적으로는 대부분 현금 또는 귀금속 형태가 가장 보편적입니다.
4. 지참금 문화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과 변화
전통적 의미의 지참금은 신부의 권리를 보호하고, 신랑의 책임감을 강조하는 긍정적인 문화로 출발했습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결혼 비용의 상승 요인이 되며 사회적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결혼 연령의 상승
- 청년층의 결혼 포기 현상 증가
- 가계 부채의 증가
이에 따라 사우디 정부와 일부 성직자들은 높은 지참금을 지양하고, 신앙적 의미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적정 지참금 문화’ 캠페인을 추진 중입니다.
5. 지참금은 단순한 돈이 아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참금은 단순한 금전 이전이 아니라, 종교적 책임, 가정에 대한 존중, 그리고 신부의 권리를 보호하는 전통적 상징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지나치게 상업화된 지참금 문화는 변화의 필요성이 있지만, 그 뿌리에 담긴 의미까지 함께 이해한다면 전통과 현대의 균형 있는 존중이 가능할 것입니다.